발표자 Speaker
세션 1
Session 1
[다시보기] 서울 도심제조업 인식의 성찰과 전환
Reflections on Urban Manufacturing in Seoul
좌장 Moderator
김용창
Yongchang Kim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동연구원
Co-researcher, Center for Asian Urban Socie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주요 연구분야는 토지·주택론, 법제지리학, 도시·지역정책론, 경영지리학이다. 최근의 연구는 자본주의 공간생산론, 지구적 금융위기와 생활공간, 신자유주의 도시화와 인클로저, 도시재생과 사적공용수용, 젠트리피케이션 등이다. 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국토교통부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최근 연구성과로는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2018), 경제사상과 전환시대 자본주의(2018), 서울의 공간경제학(2018), 희망의 도시(2017) 등이 있다.
Yongchang Kim’s research focuses on land and housing, legal geography, urban and regional policy studies, and business geography. Recent studies include the capitalist production of spa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living space, neoliberal urbanisation and enclosure, urban regeneration and the eminent domain for private gains, and gentrification. He also serves as a member of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al Policy and a member of the Housing Policy Review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cent researches include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2018), Economic Thoughts and Transformational Capitalism (2018), Seoul's Spatial Economics (2018), and The City of Hope (2017).
소준철
Junchol So
도시상공업연구자네트워크 연구원
Researcher, Researcher Network for Urban Commerce and Manufacturing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과 박사수료
Ph.D. Candidate, Sociology, Academy of Korean Studies
소준철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사회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해방 후에서 현재까지 도시하층민의 생계와 도시공간의 변화 간의 관계를 추적하고 있으며, 주로 역사적 해석과 민속지적 유추를 방법으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준)도시상공업연구소 설립을 준비하며, 도시라는 맥락에서 제조업과 기술과 기술자의 의미를 재독해하는 연구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Junchol So is a doctoral candidate in Sociology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ith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ethnographical inferences, 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elihood of urban poorer and urban transformation from the nation’s liberation in 1945 till today. Currently, he is designing a research project for re-cogni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independent technicians in the context of the urban, and trying to establish a research organization, Research Institute for Urban Commerce and Manufacturing.
제품X의 탄생, 청계천 산업생태계 추적기
Birth of Product X: Tra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Cheonggyecheon Area
청계천 주변 도심제조업의 결은 켜켜이 쌓여 있다. 업종으로는 전기전자부터 기계정밀까지, 제품으로는 완제품부터 부품들까지, 유통방식으로는 도매부터 소매까지 모두 동시에 공존하기 때문에 그 양상을 쉽게 정리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우리(소준철, 안근철, 최혁규)는 실제 생산되고 있는 제품을 추적·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도심제조업의 제조과정을 살핌으로써 그 원리와 구조, 작동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참여관찰 방법을 통해 일대의 제조과정을 예증할 수 있는 제품X를 선정하여 이 제품의 생산과정을 추적하였다. 제품X의 생산에는 지역 내 여러 업종이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연루되며,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자들과 그들의 숙련 기술이 개입하였다. 더 나아가 각 연계 및 개입 지점은 중개와 하청을 포함한 여러 유통 방식으로 다시 연결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우리는 청계천 도심제조업의 제조과정과 연루된 업종, 사이사이에 개입하는 기술자와 기술의 결과 구조를 밝히고 정리하려 한다.
Myriads of layers constitute ‘Cheonggyecheon’ that often stands for the old manufacturing district area of inner city of Seoul. The coexistence of extreme variety, from electronic industries to precision machinery industries, from end products to parts and materials, from wholesale to retail, makes it near impossible to sort out its nature. Therefore, the structural assets and operation protocols of its industrial ecology might be understood by means of any actual product that is being manufactured within the area.
In this vein, Junchol & Geuncheol Ahn, Hyuckyu Choi conducte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whole manufacturing process of Product X for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he production. Linearly or nonlinearly at the same time, involved the relevant individual processes of multiple categories of industry in the production, correspondingly by the skilled technicians with their own expertism. Those stages of production could be reconnected to diverse circulations including intermediations and subcontracts. By the investigation, we examine Cheonggyecheon urban manufacturing processes and sub-industries, analysing the technicians and consequent technical structures that are involved in each connections.
박은선
Eunseon Park
리슨투더시티 디렉터
Director, Listen to the City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환경공간정보 및 재난연구실 박사수료
Ph.D. Candidate,
Urban Environment & Disaster information Lab,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박은선은 미술과 도시공학을 전공하였으며, 2009년부터 리슨투더시티 콜렉티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리슨투더시티는 도시의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가시화 하는 일을 해왔다. 우리는 강, 하늘, 공기, 숲과 마찬가지로 도시를 공통재(the commons)로 사고하며, 공통재의 사유화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기록하며, 공통의 장소의 공통성을 회복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내성천친구들, 여성예술인연대 등에서 활동 중이며 최근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
Eunseon Park studied Fine Arts and Urban Engineering, and has been actively working with the Listen To the City Collective that she found in 2009. Listen to the City has been visualizing the invisible in the city. Listen to the City thinks of cities as commons like rivers, sky, air and forests; documents the privatization of commons with criticality; and works to restore the commonality of shared places. Eunseon is an active member of Friends of Naeseong River, the Association of Women Artists and most recently, works with the Cheonggyecheon Euljiro Anti-gentrification Alliance.
페미니스트 풀뿌리 도시계획: 청계천, 을지로 일대의 산업 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지역 재생
Feminist Grassroots Insurgent Planning: Cheonggyecheon-Euljiro Area Urban Regeneration by Preserving the Industrial Eco-system
도시 계획가는 말하는 자에서 듣는자로 전환해야 한다. 모더니즘 도시 계획의 한계는 계획가들이 이미 스스로 답을 알고 있다고 믿는데에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스트 계획이론은 아이리스 영이나 레오니 샌더콕으로 대표되는 페미니즘 도시계획과 브라질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풀뿌리 저항 도시계획 실천에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사라질 위기에 있는 도심제조업 지역인 청계천 을지로에 대하여 시민들이 직접 조사하고 인터뷰한 내용으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도시 재생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는 도심제조업을 사양산업이라 규정 짓고, 입정동과 산림동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역조사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풀뿌리 시민 단체인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는 청계천 을지로지역의 지역의 대안을 스스로 만들고자 지역 조사 및 산업 생태계 조사를 자체적으로 시작하였다. 금속 제조업이 특화된 입정동과 산림동 일대의 제조업 장인들은 서로 일거리를 주고 받으며, 해결이 잘 되지 않는 일은 이웃의 기계 장인들과 상의를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경쟁 보다는 상호 호혜성에 기반한 공유 관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청계천 도심 제조업의 핵심은 협업 체계에 있다. 도심 제조업의 상호 연결성과 순환 구조를 이해하는 일은 청계천의 산업 생태계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도심 제조업과 문화를 바탕으로한 도시 재생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Urban planners’ role need to be switched to a listener, not the speaker. The limitations of modernism planning lies in the urban planners’ belief that they already have the answers to urban proble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postmodern planning theories focus on feminist urban planning posited by Iris Young and Leonie Sandercock or grassroot resistance urban planning practices in Brazil and South Africa. This study proposes a restoration concep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recognized from the direct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by the citizens of Cheonggyecheon Euljiro, an urban manufacturing district area at stake of demolition and gentrificat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fined urban manufacturing as a declining industry, and omitted essential investigations for the Ipjeong-dong and Sallim-dong neighborhoods. In this context, a grassroot civic group, the Cheonggyecheon Euljiro Anti-gentrification Alliance has initiated investigations of the area and the industrial eco-system to generate alternatives for the Cheonggyecheon Euljiro district. The manufacturers in Ipjeong-dong and Sallim-dong, which are neighborhoods characterized with their metal manufacturing, exchanged works and jobs with each other and solved challenging problems by consulting with neighboring mechanical artisans. These interactions can be understood as a sharing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reciprocity rather than competitions, which forms the core of collaborative system in the urban manufacturing community of Cheonggyecheon area.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cyclic structure of urban manufacturing not only provides descriptive resources about the manufacturing ecosystem of the Cheonggyecheon Euljiro area, but also provides directions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urban manufacturing and culture.
권규상
Kyusang Kwon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권규상은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도시경제성장의 원천으로서 집적 경제와 네트워크 경제의 효과를 도시 내, 도시 간 관계망을 통해서 분석하고 도시재생과 같은 실질적인 사업수단과 연계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표 수행 연구로는 일자리 창출형 도시재생 전략, 컴팩트-네트워크 도시의 실천방안과 추진과제 등의 정책연구를 비롯하여 클러스터의 진화와 토지소유의 모순, 도시 네트워크의 규범적 개념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등 학술적인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Kyusang Kwon is an associate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impact of agglomeration economies and networked economies as a source of urban economic growth through networks within and between cities, and connecting the findings with practical projec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plans. His work includes policy research such as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for job creation, th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ompact-network city, and academic research on the contradiction of cluster evolution and land ownership, and the critical evaluation of normative conceptualization of urban network.
도시형 제조업을 위한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의 간극 메우기
Bridging the Gap between Industrial and Spatial Policies for Urban Manufacturing
본 연구는 용도 간 경쟁 속에서 도시형 제조업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을 결합한 정책방안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현재 한국의 산업정책은 도시형 제조업이 직면한 공간적 문제에 대해 간과하고 있다. 도시형 제조업을 둘러싼 산업정책의 초점은 개별 사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기술지원 등에 집중하면서 도시형 제조업이 주로 입지한 용도지역 상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준공업지역에서 벌어지는 용도 간 경쟁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반면에 공간정책은 계획입지 중심의 산업단지에만 관심을 가질 뿐 개별입지 과정에서 집적하는 경향이 높은 도시형 제조업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한국의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도시형 제조업은 낙후된 환경과 끊임없는 이전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쇠퇴산업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따라서 도시형 제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산업정책과 공간정책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산업별 생태계를 고려한 공간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This research advocates for the necessity of new policies that integrat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to resolve the difficulties urban manufacturing faces in the context of competition over land uses. Nowadays, the industrial policies for South Korea fail to address the spatial problems urban manufacturing faces. The focus of industrial policies for urban manufactur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rather than the severe competition over land against residential, commercial and semi-industrial district where urban manufacturing is typically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policies only focus on the site planning for manufacturing complexes, while neglecting the accumulative tendency in individual lots of urban manufacturing. Situated in the blind spot between th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urban manufacturing in South Korea suffers from the underdeveloped environment and constant displacement pressure, while being stigmatized as a declining industry. For the future of urban manufacturing, I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and that spatial policie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industrial ecosystem.
강우원
Woowon Kang
세종사이버대학교 자산관리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Asset Management,
Sejong Cyber University
강우원은 세종사이버대학교 자산관리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 도심의 제조업에 대한 입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울 도심부 제조업의 특성, 역사성, 생산연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경쟁력과 잠재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도시공간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도심제조업 밀집지역에 대해 물리적 환경개선에 매몰된 기성시가지 재생전략에서 벗어나 대체 또는 다양한 도시재생전략을 발굴해야 할 필요성에 부응하여 문화예술사업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의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크다. 대표 수행연구로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도심형산업발전 방안 연구, 세운상가의 반세기 등이 있다.
Woowon Kang is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Assent Management at the Sejong Cyber University. His studies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manufacturing in Seoul analyze the character, history, and production networks of urban manufacturing and demonstrate its competitiveness and growth potentials. With an interes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urban space, his research interest lies in alternative new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s, beyond current strategies that concentrate on the physical improvement of the urban manufacturing clusters. His representative work includes the research on urban industries development strategy in the Sewoon Reorganization Acceleration District and the ‘Half Century of Sewoon Arcade’.
서울 도심부 산업경관의 계보와 함의
Trajectory of the Industrial Landscape in Central Seoul
서울의 도심제조업은 공간적 입지특성과 산업생태적으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도심재개발사업, 도심부적격기능 이전사업이라는 인위적인 공간재편 소용돌이에 노정되고 산업지원정책면에서 사각지대로 남아 있으면서도 생존력과 경쟁력을 갖추어왔다.
현재 서울의 도심제조업은 산업구조 변화 요청에 대응하는 한편 단순한 거래비용 접근을 넘어서는 산업지구(신산업공간)로서의 특성을 견지하고 있다. 더불어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 쇄신과 지식창출 공간으로서도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저를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도시재생전략의 일환으로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수용할 수 있는 유휴공간 제공 또는 공존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산업유산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Urban manufacturing in Seoul has particular characters in locational structures and industrial ecology. Though having remained as a blind spot of industrial support policies over the past half-century, it has survived the nagging turbulences of urban redevelopment and repetitive relocation projects that wrongly categorized manufacturing as the unsuitable for the city center. Responding to the necessity for industrial restructuring, urban manufacturing in Seoul holds characteristics of ‘new industrial spaces’ that transcends the simple transaction cost approach as for their evaluation: it has foundations for innovation and knowledge creation in the era of knowledge-based economy. This talk confirm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urban manufacturing and cultural projects through the provision of shared spaces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and explores its possibility of continuation as industrial heritage.
세션 2
Session 2
[미리보기] 도심제조업의 혁신: 스마트 팩토리 시티를 향하여
Innovation in Urban Manufacturing: Towards Smart Factory City
좌장 Moderator
김세훈
Saehoon Kim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김세훈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로 도시설계를 통해 도시구조/형태/기능과 문화/산업/커뮤니티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 "도시에서 도시를 찾다(2017)"가 있고, 프로젝트로 동탄2 문화디자인밸리 도시설계, 성남시 산업공간 특화방안, 파주출판단지 도시진단,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논현동 및 압구정동 일대 슈퍼블록 재생계획수립 등을 어반랩 도시기획협동조합 및 연구실 학생들과 함께 수행했다. 학교 밖에서는 성남 아시아실리콘밸리 MP(2019) 및 난곡난향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2017-18) 등을 역임했다.
Saehoon Kim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ing the nexus of urban structure, form, functions and culture, industry and community. His monograph, Looking for the city from the city (2017), is recently published. He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with the Urban Lab City Planning Cooperative and graduate students at his lab, which include the urban planning for the Dongtan2 Cultural Design Valley, Seongnam City industrial space specialization plan, the urban diagnosis of the Paju Book City, economic strategies for the Seoul Digital Industrial Complex, and the Super Block regeneration plan for the Nonhyun-dong and Apgujung-dong area. Outside of academia, he served as the Seongnam Asia Silicon Valley MP (2019) and the chief coordinator for the Nankok, Nanhya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17-18).
에이드리안 비커리 힐
Adrian Vickery Hill
시티즈 오브 메이킹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래티튜드 플랫폼 도시 연구 및 디자인
Cities of Making project coordinator,
Latitude Platform for Urban Research and Design
에이드리안 비터리 힐은 연구자, 디자이너 그리고 도시 계획가로 활동하고 있다. 전략적 의사소통, 거버넌스 및 지역 경제와 관련된 참여형 프로젝트에 관심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 농업, 생태계 관리, 재생 에너지 네트워크, 도시 밀도, 산업 및 재료의 순환 주기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작업을 진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도심제조업과 산업 재료 순환 연구에 집중해 왔다. 캐나다 태생으로, 호주와 남미에서 자란 에이드리안은 현재 브뤼셀에 거주하고 있다.
Adrian is a researcher, designer and planner. He is interested in participatory oriented projects that are built around strategic communication, governance and local economics. Adrian has worked across a range of issues including urban sustainability, mobility, agriculture, eco-systems management, renewable energy networks, urban density, industry and material cycles. Most recently he has been focusing on urban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material exchange. He was born in Canada, raised in Australia and Latin America and calls Brussels home.
시티즈 오브 메이킹: 도심제조업의 21세기 비전
Cities of Making: a 21st Century Vision for Urban Manufacturing
대부분의 도시에서 제조업은 식품, 의류, 건축물과 같은 기초적인 제품부터 서비스 분야를 주도하는 현대 기술에 이르기까지 도시의 실체를 구성하는 물질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한때 제조업은 연수와 교육, 연구와 개발, 금융과 법률, 그리고 판매와 유통 등의 방대한 네트워크 또는 활동의 근간을 이뤘다. 그러나 경제 성장과 함께 공무원들과 개발업자들에게 있어 토지 이용의 우선 순위는 본능적으로 사무실, 상업 공간, 그리고 주택과 같이 단기간에 고수익을 내는 것으로 옮겨갔다. 뉴욕과 런던, 그리고 심지어 서울에 이르기까지, 도심 중심부의 성장은 일반적으로 제조업이나 유통을 담당하던 토지의 희생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지난 10년간, 세계의 도시들은 제조업이 21세기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이는 증가하는 순환 경제에 대한 관심, 깨끗하고 컴팩트한 기술의 발전, 복합적 토지 용도를 가능케 하는 진보적인 건축 법규, 사회적 불평등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증가된 인식, 물질적 재화와 비물질적 재화 간의 거래의 가치 사슬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가능해 졌다. ‘시티즈 오브 메이킹’은 한 때 고도로 산업화 되었던 브뤼셀, 런던, 그리고 로테르담을 들여다 봄으로써 도심 제조업을 탐구하는 유럽 연구 프로젝트이다. 이 발표를 통해 도시의 지역경제가 무엇을 생산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21세기 도심제조업의 비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Manufacturing is the substance of most cities - making anything from foundational goods such as food, clothing and buildings to developing modern technology that is driving the services sector. Manufacturing was once the base of a larger network or activities such as training and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inance and law and sales and distribution. As economies have grown, public officials and developers have instinctively shifted their priorities to short-term, high-yielding land uses such as offices, commercial space and housing. Inner-city growth from New York to London and even Seoul have generally come at the expense of land uses such as manufacturing or logistics.
In the last decad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circular economy, with cleaner and more compact technology, with more progressive building codes for mixed use, with increasing awareness of the impacts of social inequality and with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chains between the trade of material and immaterial goods, cities across the world are realising that manufacturing has an important place in the 21st century urban economy.
Cities of Making is European research project exploring urban manufacturing through the lens of three once highly industrialised cities: Brussels, London and Rotterdam.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a vision for 21st century urban manufacturing aimed at helping cities to determine what their local economy should be making.
아담 프리드먼
Adam Friedman
프랫 커뮤니티 디벨롭먼트센터 센터장
Director, Pratt Center for Community Development
아덤 프리드먼은 프랫 커뮤니티 디벨롭먼트센터의 센터장으로, 어반 메뉴팩쳐링 얼라이언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의장직을 맡으면서 뉴욕시의 도심제조업과 제조업 일자리를 보호하는 선두에 있다. 프랫 이전에는 뉴욕산업유지네트워크 (1997-2007) 및 뉴욕섬유산개발공사 (1986-1988)에서 상임 이사직을 수행하고, 자치구 단체장이었던 데이비드 딘킨스와 루스 메싱거의 경제 정책을 이끌었다. 이런 역량을 토대로 그는 도심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해 토지이용 정책을 포함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했으며, 연구와 모범사례를 공유하고 제조업 옹호자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에 어반 메뉴팩쳐링 얼라이언스를 출범시켰다.
Adam Friedman is the Director of the Pratt Center for Community Development, co-founder and Chair of the Urban Manufacturing Alliance, and one of New York City's leading advocates for manufacturing and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it brings. Before Pratt, he was Executive Director of the New York Industrial Retention Network (1997-2007) and the Garment Industry Development Corporation (1986-1988), and directed economic policy for Borough Presidents David Dinkins and Ruth Messinger. In these capacities, he developed numerous programs and policies including land use policies, to strengthen urban manufacturing, and launched the UMA for cities to share research and best practices, and to build a community of advocates.
도심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정치 경제적 전략
Economic and Political Strategies for a Vibrant Urban Manufacturing Sector
뉴욕은 제조업자들이 사업을 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비싼 도시 중 하나이다. 뉴욕의 증가하는 인구와 수요, 저렴한 주택의 부족, 약한 토지 정책과 제조업 분야의 비가시성은 종합적으로 도시의 제조업 지역을 약화시키고 제조업 일자리를 위협하는 부동산 압박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뉴욕은 여전히 5,800개의 업체가 78,000개의 고임금 일자리를 제공하는 활발하고 혁신적인 제조업을 지속하고 있다.
제조업의 지속적인 활기는 결속력이 강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산업생태계와 옹호자 커뮤니티 그리고 서비스 조직의 존재에 기인한다. 이 생태계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업가를 유치하고, 산업을 재생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운영상의 이점들을 창출하며, 숙련된 인력과 시장에의 접근성은 뉴욕의 고비용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을 만드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심 제조업 활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산업 생태계를 보호, 강화하며 제조업이 커뮤니티에 뿌리내리게 돕는 토지이용 정책 등의 도시 정책들을 옹호하는 커뮤니티 그룹과 학교와의 긴밀한 연결 관계이다. 이러한 연대는 제조업 일자리가 정의롭고 평등한 도시 경제를 만드는 필수요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New York is one of the most expensive cities in the world for manufacturers to do business. The growth in the City’s population and its popularity, its shortage of affordable housing, its weak zoning and the invisibility of its manufacturing sector combine to fuel real estate pressure that undermine the city’s manufacturing neighborhoods and threatens industrial jobs.
But New York has a vibrant, innovative manufacturing sector. There are still 5,800 manufacturers employing 78,000 people, often in high-paying jobs.
The continued vitality of manufacturing stems from the existence of strong, supportive ecosystems and a dedicated community of advocates and service organizations. These ecosystems continually attract entrepreneurs and renew the industries, create operating advantages that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provide the design talent, skilled workers and proximity to market that produce high value products that can survive in New York’s high cost environment.
Also critical to the vitality of urban manufacturing is the infrastructure of community groups and schools that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and advocate for policies, particularly land use policies, that protect and strengthen the ecosystem and that anchor businesses to their communities. This alliance is founded on realization that manufacturing jobs are an essential part of building a just and equitable urban economy.
크리스티안 크룩
Christian Krug
VDI 테크놀러지젠트룸 컨설턴트
Consultant,
Digitisation and Mobility,
VDI Technologiezentrum GmbH
크리스티안 크룩 박사는 기계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독일 보훔 루어 대학의 생산 시스템 학부 제품 서비스 시스템 분야에서 수 년 동안 일했다. VDI 테크놀러지센트룸으로에서의 첫 몇 년간은 개념 및 전략 컨설팅을 담당했다. 이 시기 동안 특히 클러스터 정책, 교차 혁신 및 혁신 모니터링에 초점을 둔 북부 라인 웨스트 팔리아 정부의 프로젝트들을 진행했다. 이후 연방 교육 연구부의 프로젝트 관리국에서 보안 연구 분야의 연구 기금 조달 컨설팅을 하게 되었다. 2015년부터는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내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이라는 실무그룹에서 연방 경제 자원부의 대표자로서 하위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며, 정치, 연구, 산업 그리고 사회의 접점에서 산업의 디지털화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Dr Christian Krug holds a Phd in mechanical engineering and worked several years in the field of product service system at the chair of production systems of the Ruhr-University Bochum. In the first years of his experiences at the VDI TZ GmbH he pursued to conceptual and strategy consulting. In this time he worked inter alia in projects for the government of North Rhine-Westphalia with focus on cluster policies, cross innovation and innovation monitoring. After that he switched to research funding consultancy in the field of security research within the Project Management Agency for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Since 2015 he is in behalf of the Federal Ministry of Economy and Energy the subproject leader for the working group “Security of Networked Systems” within the Plattform Industrie 4.0 and is involved in further more projects regarding digitalization of industries at the interfaces of politics, research, industries and society.
인더스트리 4.0 : 사회와 산업을 디지털화하다
Industrie 4.0: Digitization of the Society and Industries
이 강연은 사회와 산업의 디지털화가 증가함에 따라서 파생되는 질문들을 정치와 경제를 통해 답변해야 한다는 간단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이런 맥락 속에서 인더스트리 4.0 을 포함하는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talk gives a brief insight, which questions deriving from the increasing digitization of society and industries must be answered by politics and economy. Against this background exemplary answers including Industrie 4.0 will be pointed out.
기획자
Organizer
황지은
Jie-Eun Hwang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Architecture
서울시립대학교 세운캠퍼스 교장
Director, Sewoon Campus at University of Seoul
세운협업지원센터 센터장
Director, Sewoon Collaboration Support Center
황지은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이며,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제조업의 중심지에 자리잡은 세운캠퍼스 교장과 세운협업지원센터 공동센터장을 맡고 있다. 학구적 디자이너이자 실천적 연구자로서 공간정보와 장소성, 디지털조형과 제작구법, 디자인미디어와 인터페이스, 건축정보의 유통에 관심이 있다. 대표 수행연구로는 디지털트윈기반 도시재생 활성화 플래폼 개발, 참여형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도시 공공공간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시공간 타임라인 시스템 개발, 세계문화유산 모니터링 지표 시범조사 연구 등이 있다. 2017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현장프로젝트 생산도시 큐레이터를 역임했으며, 갤러리팩토리,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문화역서울 284, 금호미술관의 초청으로 소셜미디어를 도입한 참여형 미디어아트 작품을 전시했다.
Jie-Eun Hwang is a professor at University of Seoul at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currently directs the Sewoon Campus and the Sewoon Collaboration Support Center in the center of urban manufacturing district of Seoul.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spati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digital tectonics, design media and interface, open data. As an educator, new media experiments and alternative education are also recent interests of hers. She pursued various research projects, including: digital twin based urban regeneration platform, participatory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 spatio-temporal timeline system for monitoring public space, monitoring index development for UNESCO heritage. She co-curated Production City at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17. Art galleries such as the Gallery Factory, Gwangju Design Biennale, Culture Station Seoul 284, and Kumho Gallery, have invited her for media art installations that represent social commons.
심한별
Hanbyul Shim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선임연구원
Research Fellow, Center for Asian Urban Socie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심한별은 서울 도심부의 산업활동 변화와 도시형태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생산활동의 사회적, 공간적 특징이 주요한 연구 주제이며, 최근에는 경제활동의 재구조화 과정에서 생산 공간과 행위자의 관계 변화를 지역 경제의 회복력 관점에서 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건축학, 경영학, 도시계획학 학위를 마치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지리학과에서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내 아시아도시사회센터의 선임연구원으로, 도시건축연구방법, 디자인의 사회적 과정, 디자인 공공성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있으며 도시상공업연구자네트워크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Hanbyul Shim received his Ph.D. with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activities and urban morphology of the inner city of Seoul. The main theme of his research is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roduction activities. Recent research focuses upon the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spaces and actors during economic restructur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resilience of local economy. After graduating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degrees in Architectur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Urban Planning, Hanbyul served as a visiting researcher at the Department of Geography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Currently, he is a research fellow at the Center for Asian Urban Societie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iving lectures of urban research methodology, social process of design, design publicness, and also serves as a member of the Researcher Network for Urban Commerce and Manufacturing.
코디네이터
Coordinator
임성은
Sung-eun Lim
사업부 부장,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Program Manager,
Friedrich Naumann Foundation for Freedom
임성은은 국제개발협력및 EU 법을 전공하였으며,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한국사무소에서 국내사업 부장으로 재직중이다. 나우만재단의 국내 사업과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기획 및 진행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나우만재단은 1987년 한국사무소 개소이후, 한국의 지방자치 및 민주주의 발전과 한반도 통일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2016년부터 스마트시티와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Having studied European Law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ng-eun
Lim has been working for the Friedrich Naumann Foundation for Freedom Korea
office (FNF) as a Program Manager. She is in charge of the Foundation’s activities in
South Korea, notably designing and coordinating FNF’s programs including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With the opening of Korea office in 1987, FNF has
been promoting local autonomy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and supporting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2016, FNF is active on the areas of Smart
City and the Industrie 4.0.
특별출연
Special Presenters
크리스티안 탁스
Christian Taaks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한국사무소 대표
Head, Friedrich Naumann Foundation
for Freedom Korea Office
진희선
Hee-Seon Jin
서울시 부시장
Vice Mayo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윤진호
Jin Ho Yoon
중구문화재단 대표
CEO, Junggu Cultural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