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Archive
박은선
Eunseon Park
페미니스트 풀뿌리 도시계획: 청계천, 을지로 일대의 산업 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지역 재생
Feminist Grassroots Insurgent Planning: Cheonggyecheon-Euljiro Area Urban Regeneration by Preserving the Industrial Eco-system
도시 계획가는 말하는 자에서 듣는자로 전환해야 한다. 모더니즘 도시 계획의 한계는 계획가들이 이미 스스로 답을 알고 있다고 믿는데에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스트 계획이론은 아이리스 영이나 레오니 샌더콕으로 대표되는 페미니즘 도시계획과 브라질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풀뿌리 저항 도시계획 실천에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사라질 위기에 있는 도심제조업 지역인 청계천 을지로에 대하여 시민들이 직접 조사하고 인터뷰한 내용으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도시 재생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는 도심제조업을 사양산업이라 규정 짓고, 입정동과 산림동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역조사를 하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풀뿌리 시민 단체인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는 청계천 을지로지역의 지역의 대안을 스스로 만들고자 지역 조사 및 산업 생태계 조사를 자체적으로 시작하였다. 금속 제조업이 특화된 입정동과 산림동 일대의 제조업 장인들은 서로 일거리를 주고 받으며, 해결이 잘 되지 않는 일은 이웃의 기계 장인들과 상의를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경쟁 보다는 상호 호혜성에 기반한 공유 관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청계천 도심 제조업의 핵심은 협업 체계에 있다. 도심 제조업의 상호 연결성과 순환 구조를 이해하는 일은 청계천의 산업 생태계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도심 제조업과 문화를 바탕으로한 도시 재생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Urban planners’ role need to be switched to a listener, not the speaker. The limitations of modernism planning lies in the urban planners’ belief that they already have the answers to urban proble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postmodern planning theories focus on feminist urban planning posited by Iris Young and Leonie Sandercock or grassroot resistance urban planning practices in Brazil and South Africa. This study proposes a restoration concep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recognized from the direct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by the citizens of Cheonggyecheon Euljiro, an urban manufacturing district area at stake of demolition and gentrificat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fined urban manufacturing as a declining industry, and omitted essential investigations for the Ipjeong-dong and Sallim-dong neighborhoods. In this context, a grassroot civic group, the Cheonggyecheon Euljiro Anti-gentrification Alliance has initiated investigations of the area and the industrial eco-system to generate alternatives for the Cheonggyecheon Euljiro district. The manufacturers in Ipjeong-dong and Sallim-dong, which are neighborhoods characterized with their metal manufacturing, exchanged works and jobs with each other and solved challenging problems by consulting with neighboring mechanical artisans. These interactions can be understood as a sharing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reciprocity rather than competitions, which forms the core of collaborative system in the urban manufacturing community of Cheonggyecheon area.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cyclic structure of urban manufacturing not only provides descriptive resources about the manufacturing ecosystem of the Cheonggyecheon Euljiro area, but also provides directions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urban manufacturing and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