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Archive
권규상
Kyusang Kwon
도시형 제조업을 위한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의 간극 메우기
Bridging the Gap between Industrial and Spatial Policies for Urban Manufacturing
본 연구는 용도 간 경쟁 속에서 도시형 제조업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을 결합한 정책방안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현재 한국의 산업정책은 도시형 제조업이 직면한 공간적 문제에 대해 간과하고 있다. 도시형 제조업을 둘러싼 산업정책의 초점은 개별 사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기술지원 등에 집중하면서 도시형 제조업이 주로 입지한 용도지역 상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준공업지역에서 벌어지는 용도 간 경쟁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반면에 공간정책은 계획입지 중심의 산업단지에만 관심을 가질 뿐 개별입지 과정에서 집적하는 경향이 높은 도시형 제조업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한국의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도시형 제조업은 낙후된 환경과 끊임없는 이전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쇠퇴산업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따라서 도시형 제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산업정책과 공간정책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산업별 생태계를 고려한 공간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This research advocates for the necessity of new policies that integrat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to resolve the difficulties urban manufacturing faces in the context of competition over land uses. Nowadays, the industrial policies for South Korea fail to address the spatial problems urban manufacturing faces. The focus of industrial policies for urban manufactur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rather than the severe competition over land against residential, commercial and semi-industrial district where urban manufacturing is typically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policies only focus on the site planning for manufacturing complexes, while neglecting the accumulative tendency in individual lots of urban manufacturing. Situated in the blind spot between th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urban manufacturing in South Korea suffers from the underdeveloped environment and constant displacement pressure, while being stigmatized as a declining industry. For the future of urban manufacturing, I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dustrial policies and spatial policies, and that spatial policies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industrial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