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Valley
Presentation 3

산업도시 부평의 기록과 보존
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Industrial City, Bupyeong

이연경 (인천대학교)
Yeonkyung Le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부평은 1939년 이후 일제의 한반도 병참기지화 정책에 따라 군수공업화된 도시이다. 부평의 공업도시는 계획대로 완성되지 못하였으나 일제강점 말 약 6년간의 시간 동안 부평에는 군수공장, 인천일본육군조병창, 노무자주택이 건설되며 부평은 농촌지역에서 군수공업도시로 변화하였고 이는 이후 부평의 정체성이 되었다. 해방 이후 부평의 조병창을 비롯한 군수공장들은 미군 24사단이 접수하였고,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부터는 미육군군수지원사령부(Army Support Command)가 주둔하며 부평은 ASCOM CITY로 불렸다. 이후 ASCOM CITY는 1973년 해체되었고, 미군기지는 현재의 캠프 마켓 영역으로 줄어들었다. 미군기지의 반환이 시작된 것은 2019년 이후의 일로 현재까지도 부평의 캠프 마켓은 반환 과정이 진행 중이다. 캠프마켓의 반환 및 주변 지역의 재개발로 인해 캠프 마켓을 비롯한 부평 (군수)공업지역의 산업유산들은 충분한 조사와 기록이 진행되지 못한 채 빠른 속도로 멸실되고 있다. 심지어 기록화 사업이 철거의 명분을 제공해주기도 하는 상황이다. 식민지하, 전시체제하라는 특수 상황속에서 만들어진 (군수)공업도시 부평의 기록과 보존은 과연 무엇을 위해 이루어져야 하며,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Since 1939, Bupeyong was rapidly urbanized and industrialized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military logistics base of the empire of Japan. Based on Kyungin urban planning of 1940 and industrial land development plan of Kyeonggido, many military factories and arsenal were constructed, and a great amount of housing were also built for their workers from 1939 to 1944. Although the initial urban planning was unfinished, urban change from rural area to military industrial city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made the identity of city of Bupyeong. After liberation, the US 24th Corps took over the area near Incheon Arsenal, including the military factories. Since 1955, Bupyeong was named as the ASCOM(Army Service Command) city. ASCOM City was disbanded in 1973, and its area reduced to the current area of the Bupyeong Camp Market. Since 2019, the return process of Bupyeong Camp Market from the US military to Incheo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going on partially by dividing it into zones. At Present, various agents, such a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cheon Metropolitan Cit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other civic bodies, are in conflict over whether to demolish the buildings of the Incheon Arsenal located in the Bupyeong Camp Market. There are a lot of (military) industrial heritages in the Bupyeong district; however the proper investigation or research into its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alues has not been done sufficiently. Even sometimes archival research of remained heritages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 ‘documentation project for demolition’.
이연경
인천대학교

Yeonkyung Le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이연경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건축역사이론 전공으로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제6회 심원건축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천, 100년의 시간을 걷다』(공저),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本町』 및 『사진으로 만나는 개항장 인천의 경관』(공저)이 있으며, 19세기 말 이후 서울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도시들이 겪은 근대화와 식민화의 과정을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도시환경, 그리고 건축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Yeonkyung Lee is work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s a research professor. She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Architecture in Yonsei University in 2002 and got Ph.D in Architecture with research of Space and Society of Japanese Settlement in Seoul from 1885 to 1910, focused on changes of urban environment from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in 2013. She was awarded the 6th Simwon Architectural Academic Awards. She has continued to study urban changes of modern cities in the aspect of everyday life.
OPENING
G밸리x세운조인트포럼 소개
Introduction to G Valley x Sewoon Joint Forum
G밸리산업박물관 개관 기념 환영사
Opening Remarks from G Valley Industrial Museum
G VALLEY
기록하는 도시의 새로운 가치
Documenting New Values for the City
산업유산의 보존과 재활용
An Introduction to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Industry
제임스 두에
James Douet
근현대 건축유산 관리제도와 기록화
Legal Management System of Modern Architectural Heritage, and its Documentation
이규철
Geauchul Lee
구로 무역박람회: 1968년 가을의 백일몽
Guro Korea Trade Fair: A Daydream of the Autumn, 1968
박정현
Junghyun Park
G밸리(구로공단)의 1960-90년대 공장건축
Industrial Architecture of G Valley from 1960s to 1990s
김하나
Ha-na Kim
산업도시 부평의 기록과 보존
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Industrial City, Bupyeong
이연경
Yeonkyung Lee
SEWOON
도시를 만드는 기록
Archives that Build the City
건축 기록의 실행적 역할
The Active Role of Architectural Documentation
버나데트 데빌라트
Bernadette Devilat
세운 일대 도시계획 기록에서 찾아보는 조사 관점의 변화:기록의 재건 1부
Urban Documentation Chronicle of the Sewoon Area
강난형, 정다은
Nan-Hyoung Kang, Da-Eun Jeong
다섯갈래로 횡단한 세운 일대 조사기록의 구축물:기록의 재건 2부
Five Cross Sections of Urban Planning Documents of the Sewoon Area
강난형, 정다은
Nan-Hyoung Kang, Da-Eun Jeong
도시 기록 현장의 시선 - 청계천 일대 도심제조업 기록화 작업 과정
Situated Eyes on the Built Environment of Sewoon Urban Manufacturing
도시 공간정보 아카이브의 현장성
Activeness of Urban Spatial Data Archive
사공호상
Hosang Sakong
PANEL DISCUSSION
기록에서 발견하는 도시
The Archive that Discovers Urban Issues
이규철, 박정현, 정다은, 강난형, 전진홍, 최윤희
Geauchul Lee, Junghyun Park, Da-Eun Jeong,
Nan-Hyoung Kang, Jinhong Jeon, Yunhee Choi
기록의 현장들
Battlefields of Urban Documentation
김하나, 이연경, 조정구, 안근철, 황지은
Ha-na Kim, Yeonkyung Lee, Junggoo Cho,
Kunchul Ahn, Jie-Eun Hwang
만든 사람들 Credit
Sewoon Global Forum Archive
→ Forum 2020
→ Forum 2019